국민연금 25% 올리는 법, 진짜 공식 공개


“60세 이후 5년 더 납입하면, 내 노후 월급이 ‘얼마나’ 달라질까요?”

오늘은 임의계속가입(60~65세)을 통해 국민연금을 더 쌓았을 때 실제 수령액이 얼마나 늘어나는지를 숫자로 보여줄게요.
지금 이 선택이 “평생 현금흐름”을 바꾸는 포인트라서, 놓치면 아쉬운 내용만 콕 집어 정리했어요.


“결론부터”말씀드리면, 이미 가입기간이 20년이라면 5년 추가 납입 시 기본연금액이 약 25% 늘어나는 구조예요(공식상, 20년 초과 매 1년에 5% 가산). 
그리고 65세부터 연금을 받는 나이는 출생연도에 따라 다르지만, 1969년생 이후는 65세부터예요(조기 수령은 별도).


임의계속가입, 누가 65세까지 더 납입할 수 있나요?

임의계속가입은 만 60세에 도달해 당연가입 자격이 끝난 사람이 원하면 65세 전날까지 계속 납부하는 제도예요.
대상은 이전에 가입한 이력이 있고 현재 노령연금을 받고 있지 않은 분(반환일시금 수령자·연금 수급 중인 자는 제외)이고, 신청은 65세 전까지 언제든 가능해요.

  • 60세 이후에도 직장에서 일한다면?
    ‘사업장 임의계속가입자’로 전환해 보험료 9% 전액을 본인이 부담해요(60세 이후는 당연적용에서 빠져 회사부담 없음).

  • 지역·임의가입자였던 경우도 임의계속가입으로 연결 가능해요.

보험료 기준(2025.7~2026.6): 기준소득월액 하한 40만 원, 상한 637만 원, 요 금액의 9%를 본인 부담해요(임의계속가입).


5년 더 내면 ‘얼마나’ 늘어날까: 공식으로 이해하기

국민연금 기본연금액은 단순화하면 아래 구조로 이해하면 편해요.

  • 기본연금액 ≈ 1.2 × (A + B) × (1 + 0.05 × n/12)

    • A: 최근 3년 전체 가입자 평균소득월액(2024.12~2025.11 적용 A값 3,089,062원)

    • B: 내 가입기간 평균소득월액(재평가 반영)

    • n: 20년 초과 가입월수(20년 이하면 n=0)

    • 여기에 가입기간별 지급률(10년=50%, 1년↑마다 +5% → 20년=100%)을 곱하고, 부양가족연금액이 있으면 더해요.

핵심 포인트

  • 20년(240개월)까지는 ‘지급률’이 50%→100%로 선형 증가해요.

  • 20년 초과분부터는 ‘(1+0.05×n/12)’가 적용돼 1년마다 5%, 5년이면 25% 가산돼요.


임의계속가입필수팁

    케이스로 보는 증가폭(예시 계산)

    아래는 A값 3,089,062원(2024.12~2025.11 적용), B를 저·중·고 소득 상황으로 가정해 단순 모델로 비교한 월 수령액 변화 예시예요(부양가족 가산, 재직감액·세금·재평가 변동은 제외한 러프한 비교).

    1) 이미 20년인데 5년 추가(→25년)

    • B=180만원: 약 48.9만 → 61.1만 원(▲12.2만/월, +25%)

    • B=250만원: 약 55.9만 → 69.9만 원(▲13.9만/월, +25%)

    • B=350만원: 약 65.9만 → 82.4만 원(▲16.5만/월, +25%)

    2) 15년에서 5년 추가(→20년)

    • B=180만원: 36.7만 → 48.9만 원(▲12.2만/월, +33%)

    • B=250만원: 41.9만 → 55.9만 원(▲14.0만/월, +33%)

    • B=350만원: 49.4만 → 65.9만 원(▲16.5만/월, +33%)

    3) 25년에서 5년 추가(→30년)

    • B=180만원: 61.1만 → 73.3만 원(▲12.2만/월, +20%)

    • B=250만원: 69.9만 → 83.8만 원(▲13.9만/월, +20%)

    • B=350만원: 82.4만 → 98.8만 원(▲16.5만/월, +20%)

    중요! 위 증가는 구조적 증가율을 보여주는 교육용 예시예요. 실제 산정은 연도별 가중치(상수), 재평가율, 개인 B의 변동, 부양가족 가산, 수급 시점 A값 등 변수로 달라져요. 공식·A값·지급률의 원칙만 정확히 기억해 두면, 흐름을 이해하는 데 충분해요.


    비용 대비 수익(BEP) 감 잡기



    임의계속가입자는 선택한 기준소득월액에 9%를 매월 냅니다. 5년간 총 납입액과 월 연금 증가분(위 중간소득 예시, ▲약 13.9만 원)으로 손익분기점을 감 잡아볼게요.

    • 하한(40만 원): 매월 36,000원 × 60 = 216만 원약 15.5개월 수령 시 원금 회수

    • 100만 원: 매월 90,000원 × 60 = 540만 원약 38.6개월

    • 200만 원: 매월 180,000원 × 60 = 1,080만 원약 77.3개월(6.4년)

    • 400만 원: 매월 360,000원 × 60 = 2,160만 원약 154.6개월(12.9년)

    “요지는 이거예요”
    소득이 낮을수록(혹은 하한에 가깝게 납부할수록) BEP가 짧고 유리해요. 반대로 상한에 가까우면 BEP가 길어지지만, 늘어난 월 연금 자체가 커지는 장점도 있어요.


    ‘재직자 감액’과의 관계(처음 5년)

    연금을 받기 시작한 뒤 처음 5년간 소득이 A값(2025년 3,089,062원)을 넘으면 연금 일부가 감액될 수 있어요. 소득구간별로 월 5만~50만 원+α까지 감액되며, 한도는 연금의 1/2이에요. 즉, ‘계속 일할 계획’이라면 수급 시점·소득 계획까지 같이 보셔야 해요.


    기초연금과의 동시 수급, 감액 이슈

    65세 이후 기초연금소득인정액 기준을 넘으면 감액될 수 있고, 부부 수급 시 각 20% 감액이 적용돼요(‘부부감액’). 국민연금(노령연금)은 소득으로 반영되기 때문에, 임의계속가입으로 노령연금이 커지면 기초연금은 일부 줄 수 있음도 염두에 두세요.


    국민연금기초연금차감

    체크리스트: 지금 당장 확인할 7가지

    1. 현재 가입기간(월)과 예상 수급연령(출생연도별)을 확인해요.

    2. 임의계속가입 자격과 신청 가능 시점(60~65세)을 체크해요.

    3. 기준소득월액(40만~637만 원) 범위에서 납부 수준을 정해요.

    4. 5년 추가 납입 시 증가율(20년 넘긴 뒤 연 5%)을 머릿속에 넣어요.

    5. BEP: 총 납입액 ÷ 월 증가액으로 대략 회수 기간을 계산해요.

    6. 재직자 감액 가능성과 수급 시점(취업 계획 포함)을 조정해요.

    7. 기초연금과의 상호작용(부부감액·소득인정액)을 점검해요. 


    절차 요약(신청 흐름)

    • 어디서: 국민연금공단 지사 방문 또는 전자민원(온라인)

    • 언제: 60세 도달 후 65세 전날까지 수시 신청 가능

    • 무엇을: 신분증, 소득 관련 서류(필요 시), 납부수준 설정

    • 유의: 이미 노령연금 수급 중이거나 반환일시금 수령자는 불가.

    개인 팁: 어떤 분이 특히 유리할까요?

    • 가입 15~19년에서 멈춘 분: 20년 도달 효과(지급률 100%)가 커서 증가폭 체감이 즉각적이에요.

    • 20년 막 채운 분: 이후 5년은 연 5% 가산으로 25% 업사이드가 깔끔해요.

    • 하한 납부 여력이 있는 분: BEP가 짧아 체감 효용이 빨라요.

    • 근로소득이 수급 후 5년간 A값 이하일 전망인 분: 재직자 감액 리스크가 낮아요.


    결론

    “65세까지 5년 더 납입”은 단순히 ‘보험료를 더 내는 것’이 아니라, 은퇴 이후 현금흐름을 ‘구조적으로 업그레이드’하는 선택이더라구요.
    특히 20년 문턱 전후에 계신 분들은 효과가 또렷해요. 다만 재직자 감액·기초연금 상호작용까지 함께 설계하면, 결과가 훨씬 안정적이에요.


    임의계속가입필수팁 국민연금기초연금차감


    Q&A

    Q1. 직장 다니는데도 60세 이후 5년 더 낼 수 있나요?
    A. 가능해요. 다만 임의계속가입으로 전환되며, 보험료 9% 전액을 본인 부담해요. 회사가 절반을 내주던 당연가입과 달라요.

    Q2. 5년 더 내면 꼭 상한(637만 원)으로 잡아야 하나요?
    A. 아니에요. 하한 40만~상한 637만 원 사이에서 본인이 선택해요. 납부수준에 따라 **BEP(원금 회수기간)**이 달라져요.

    Q3. 저는 17년인데 3년만 더 채우고 멈춰도 돼요?
    A. 20년 도달의 지급률 100% 효과가 커서 3년 추가만으로도 체감이 큽니다. 이후 더 납부할지는 소득·건강·은퇴 일정을 반영해 결정해요.

    Q4. 수급 시작 후에도 계속 일하면 연금이 줄나요?
    A. 첫 5년간은 A값 초과 소득이 있으면 구간별 감액이 있어요(월 5만~50만+α, 한도 1/2). 수급 시점·근로 계획을 함께 설계해요.

    Q5. 기초연금과 동시에 받으면 손해인가요?
    A. ‘둘 다’ 받을 수 있지만 소득인정액에 따라 기초연금이 일부 감액될 수 있어요. 부부 수급 시 20% 감액도 기억해요.

    다음 이전